"위안부 얘기 듣고 숨멎는 충격.. 세계 알리려 소설 써"
미국에서 1997년 '종군위안부' 소설 발간 노라 옥자 켈러 방한
한국계 미국 소설가 노라 옥자 켈러 씨가 지난 25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앞에 앉았다. 그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정치적인 이유로 힘없는 여성의 목소리를 묻어버리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1997년 미국에서 소설 ‘종군위안부’(Comfort Woman)를 내 1998년 전미도서상을 받은 한국계 소설가 `노라 옥자 켈러`씨가 대산문화재단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문학포럼 참석차 최근 방한했다. 25일 만난 그는 “할머니들은 ‘역사는 덮으려고 해도 덮을 수 없다. 내가 바로 여기 있다’고 외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켈러씨는 이날 본보 취재진과 함께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을 찾았다. 그는 소녀상을 처음 봤다고 했다. “할머니들처럼 움츠리지 않고, 당당하게 일본대사관을 응시하고 있네요.”
하와이에서 자란 그는 1993년 하와이대 인권 심포지엄에서 황금주 할머니(2013년 별세)의 강연을 듣고 위안부 문제를 알게 된 뒤 소설을 쓰게 됐다고 했다. “한국사에 대해서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증언을 듣고 숨이 멎는 듯한 충격을 받았어요. 그 뒤 할머니들의 증언 번역본을 읽으면서 오랜 침묵의 무게를 느꼈고, 그 트라우마가 다음 세대에 이어진다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
켈러 씨는 2015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실망스러웠다. 특히 ‘불가역적 해결’이라는 표현은 할머니들에게 다시 침묵하라는,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 조종엽 기자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해소방 가격표 (0) | 2017.06.09 |
---|---|
방통위 알박기 빼낸 신의 한 수/ 66세 연약한 여자/ 신연희 인과응보 (0) | 2017.06.09 |
[경제브리핑] `항암식품`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은? (0) | 2017.06.08 |
일본의 미개함이 잘 드러나는 사건 2개 (0) | 2017.06.07 |
소멸해가는 자유한국당과 문재인 정부의 미래, 그리고 `종부세` (0) | 2017.06.07 |
사드 배치, 문재인 대통령 신의 한 수/ 역대급 빚탕감/ 보훈처 장관급 격상 (0) | 2017.06.06 |
김상조 청문회가 준 교훈, OO을 믿지 말자/ 대통령 암살한다는 글 올렸다가/ 대통령꿈 복권 (0) | 2017.06.05 |
이 많은 돈은 다 어디로 갔을까? (0) | 2017.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