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2. 20. 15:47

재건축 기준 바뀐다. "공공기관이 조사 · 적정성 검토"

재건축 사업이 무분별하게 추진되지 않도록 안전진단 기준이 바뀐다. 국토교통부는 재건축 사업이 구조안전성 확보, 주거환경 개선 등 본래의 제도 취지에 맞게 진행될 수 있도록 안전진단 기준을 개선키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재건축 사업추진을 결정하는 첫 단추인 안전진단의 절차와 기준이 지속 완화되어 왔다"며 "이로 인해 현재 안전진단은 사업 추진 필요성을 결정하는 본래의 기능이 훼손되고, 형식적인 절차로서만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개선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지속된 규제완화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고 안전진단 제도가 본래 취지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그간 과도하게 완화된 규정을 정상화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안전진단 개선안에 따르면, 시장 · 군수가 안전진단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첫 단계인 현지조사 단계부터 전문성 있는 공공기관(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시장 · 군수가 현지조사를 통해 안전진단 실시여부를 결정해 왔으나 구조체 노후화, 균열상태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구조안전성 분야에 대한 조사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시장 · 군수가 현지조사를 공공기관에 의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현지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이 담보되도록 했다.

또한 구조안전성 확보라는 재건축사업 본래 취지대로 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구조안전성 비중을 50%까지 상향조정(주거환경 15%, 시설노후도 25%, 비용분석 10%)한다. 이는 구조적으로 안전한데도 재건축사업이 추진되는 사회적 낭비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다만 주거환경이 극히 열악한 경우( 구조안전성 등 다른 평가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현 규정을 유지한다. 따라서 주거환경 평가결과 E 등급을 받으면, 바로 재건축으로 판정된다. 이와 함께 안전진단 종합판정 결과,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으면 안전진단 결과보고서에 대한 공공기관의 적정성 검토를 거쳐 재건축사업 추진여부를 결정토록 했다.

현재 안전진단 결과 구조 안전성에 큰 결함이 없는 경우 재건축 시기를 조정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조건부 재건축`이라는 판정 유형을 두고 있다. 조건부 재건축은 치명적인 구조적 결함은 없는 것으로서, 시장․군수가 주택시장․지역여건 등을 고려해 재건축 시기를 조정할 수 있는 판정 유형이다. 안전진단 결과 유지보수는 총 100점중 55점 초과, 조건부 재건축은 55∼30점, 재건축은 30점 이하일 경우 판정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단지가 시기조정 없이 바로 재건축사업이 추진되는 등 `재건축` 판정과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에 안전진단 결과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은 경우, 공공기관의 적정성 검토를 의무적으로 거친 후 재건축을 추진하도록 했다. 이는 민간의 진단결과에 대한 검증을 강화한 것이다. 다만, 공공기관이 안전진단을 실시해 이미 공적 판단을 받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적정성 검토 없이 재건축 사업이 가능하도록 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220153050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