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 7. 17:02

달라지는 공인인증서와 금융거래 인증서비스

공인인증서 완전 퇴출 아닌 독점지위 잃고 `공동인증서`로
`PASS · 카카오페이` 등 다양한 민간 전자 인증 서비스 출시

지난 1999년 처음 도입된 공인인증서가 21년 만에 사라지고, 공인인증서 제도를 폐지한다는 내용의 전자서명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1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오는 10일부터 시행됩니다. 다만 새로운 법이 시행된다고 해서 공인인증서가 완전히 퇴출되는 건 아니며 공인인증서는 `공인`이라는 독점적 지위를 잃고 이름이 `공동인증서`로 바뀝니다.

지금 사용 중인 공인인증서는 유효 기간이 끝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유효 기간이 끝나면 매년 해왔던 것처럼 갱신하거나 재발급을 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공인인증서를 운영하는 업체는 금융결제원 · 한국전자인증 · 코스콤 · 한국무역정보통신 · 한국정보인증 · 이니패스 등 6개 업체.

공인인증서 21년 만에 퇴장 D-7… 민간-공공 '무한경쟁'

지금도 공인인증서 외에 다양한 전자 인증 서비스가 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 3사가 공동 운영하는 'PASS(패스)'와 카카오가 운영하는 '카카오페이 인증'이 있다. 발급 수가 지난달 말 기준 각각 2000만 건을 돌파할 정도로 대중화됐다. 또 KB국민은행의 'KB 모바일 인증서', 네이버의 '네이버 인증', NHN페이코의 '페이코 인증서' 등 후발 주자들도 전자 인증서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PASS를 예로 들면 스마트폰에서 구글플레이나 앱스토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앱) 장터에서 'PASS' 또는 '패스'를 검색해 앱을 다운받는다. 앱을 실행해 휴대전화 번호, 이름, 생년월일 등을 이용해 본인 확인 정보를 등록하고 회원 가입한다. 앱에서 'PASS 인증서 발급하기' 버튼을 누르고 생체 정보와 6자리 핀 번호를 설정하면 된다. 앱을 지우지 않는 한 인증서는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돼 있다.

웹서핑 중 PASS 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팝업으로 뜬 창에 전화번호와 이름만 입력하면 된다. 스마트폰에서 PASS 앱을 실행하면 '1건의 인증 요청이 있습니다'라는 안내문이 뜨고, 안내문을 클릭해 미리 설정해둔 핀 번호를 누르면 인증이 완료된다.

큰 강점 '편리함'…내년부턴 정부사이트 사용 가능

편리함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기존 공인인증서를 쓰려면 각 웹사이트마다 다른 '액티브엑스(Active X)' 프로그램을 깔아야 한다. 액티브엑스는 인터넷 초창기에 브라우저 시장을 독점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 맞춰진 서비스로, 웹과 외부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IE 역시 단종을 앞두고 있고 PC 중심이었던 인터넷 시장은 모바일로 옮겨가게 됐다. 새로운 인증서들은 태생부터 '모바일 기반'인 데다 생체 인식 또는 6자리의 핀 번호만으로도 신분 인증을 하게 해준다. 인증서를 PC에 따로 저장할 필요도 없다. 유효 기간도 2~3년으로 1년인 공인인증서보다 길다. 개인 고객의 경우 공인인증서와 마찬가지로 무료다.

공공기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후속 조치가 뒤따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턴 정부 공공 사이트에서 공인인증서 대신 국민이 친숙한 다양한 전자 서명을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내년 초 국세청 홈페이지(홈텍스)에서 근로자 연말정산을 할 때 최초로 민간 전자인증서를 골라 써볼 수 있습니다. 현재 시범 서비스 후보로 꼽힌 건 통신 3사 · 카카오 · 국민은행 · NHN페이코 · 한국정보인증 5곳. 지금은 홈텍스 페이지에서 로그인하려면 공인인증서 로그인 또는 홈텍스 앱을 활용한 지문 인증 로그인 두 가지가 가능한데, 내년엔 여기에 PASS · 카카오페이 인증과 연결되는 버튼이 생길 예정입니다.

UPI뉴스 / 박일경 기자
http://www.upinews.kr/newsView/upi202012030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