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23. 15:28

한일 방위비도 역전이 현실로

구매력 기준 2018년 · 실제 액수로 2023년 한국이 우위
일본 GDP 대비 방위비 G7 꼴찌, 한국 내년 7%씩 증액

아베, "한국에도 뒤진단 말인가" 했지만 예산이 부족하네?
북한 위협과 중국에 대비하는 한국. . 일본보다 전략우위!

한국과 일본의 방위비가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는 이미 역전됐고, 실제 액수로도 2년 후면 뒤집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사력이 역전되면 외교와 역사문제에서도 한국이 우위에 서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의 방위예산은 약 5조엔(약 51조원)으로 2013년 이후 국내총생산(GDP)의 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GDP 대비 방위예산 비중은 세계 125위, 주요 7개국(G7) 가운데 꼴찌다. 한국은 문재인 대통령 정부 출범 이후인 2018~2020년 매년 7.0~8.2%씩 방위비를 늘렸다.

그 결과 한국의 GDP 대비 국방비는 2.7%로 미국을 제외한 G7 국가를 모두 앞선다. 같은 기간 중국의 방위비는 일본의 4배로 늘어나 경제력 뿐 아니라 군사력에서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일본 정부와 자민당 관계자에 따르면 아베 시절부터 "한국에도 뒤진단 말인가"라며 국방비 증액을 논의했다.

하지만 막대한 사회보장비 지출 부담 때문에 국방비를 늘릴 여유가 없었다는 전언이다. 일본은 1년 예산의 3분의 2를 사회보장비 지출과 국채 이자 지급에 쓴다. 미군 전력에 상당 부분을 의존하는 것도 일본이 국방비 증액에 소극적인 이유였다.

미국 1강 시대에는 문제가 없는 전략이었지만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어 일본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전 미국 국방부 고위관료는 "아시아에서 중국에 대한 미군의 우위는 이미 무너졌다"고 말했다.

한국은 늘어난 방위비를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비한 미사일 방위체제와 정찰력 강화 ▲중동과 한반도를 잇는 해상교통로 확보를 위한 이지스함과 경항모 등 해군력 증강에 주로 투입하고 있다. 실제로는 중국에 대한 대비도 상당 부분 진전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토 고타로 캐논글로벌전략연구소 수석 연구원은 "중국 어선이 한국 근해에 몰려오고 중국군 함선과 항공기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며 "한국이 해군과 공군 전력을 강화하는 것은 중국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도 "중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북한에 대처한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군의 위협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한일간 군사력이 역전되면 외교와 역사문제에 있어서도 한국의 입장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사 발췌(이미지 제외)
https://news.v.daum.net/v/20210622073201859

 

광복절 76주년에 보는 한일 격차 비교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달성. 세계 경쟁력 연감 IMD 국가경쟁력 종합순위. S&P 국가신용등급 비교. 구매력 평가(PPP) 기준 1인당 GDP 역전. 방위비도 추월했는데 2년 뒤면 실제 액수까지 역전. 남북 철

dynamid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