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4. 9. 14:45

자본세력의 요구와 논리에 충실했던 `대처`와 `레이건`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수상이 죽었다고 이슈가 되고 있는데 난 이 할매 명복은 못 빌어 주겠다. `철의 여인`이라 불리며 자전적 영화에서 "매일 매일 전쟁을 치르며 살았다."라고 했지만 그 못지 않게 당시 영국 국민들과 노동자들 또한 그런 나날들을 보냈으니까.

영화배우답게 대통령 역할을 잘 연기했던 레이건이 미국의 행정부 수장으로 있었을 때 `레이거노믹스`와 같이 대처리즘으로 일컬어지는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시동걸린  세상에서 정부차원의 대대적인 민영화와 노동시장 유연화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겪었던 수많은 영국인들. 그들은 축구장으로 몰려들었고, 쌓인 불만과 분노를 표출하며 억압된 욕구를 분출시켰으니 흔히 말하는 `훌리건(Hooligan)`이다.

기사 이미지

대처의 가장 큰 업적(?)이라면 제일 강력했던 석탄 노조를 무자비한 공권력의 탄압으로 분쇄시킨 일이 아닐까. 파업과 시위에 굴복하지 않고 단호하게 대처해서 이름이 대처인지는 모르겠지만 이것을 그녀의 업적이라고 한다면 그만큼 노동자들의 희생과 눈물 또한 그에 못지 않았다.

영화라는 게 그 시대를 대변한다든지 또는 고발하는데 있어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걸 감안해 볼때 이 할매가 지도자의 위치에 있던 시절을 말하고 있는 영화로 영국 탄광 노동자들의 웃기지만 결코 웃고 있을수만은 없는 처절한(?) 생존기를 그린 `풀몬티`와 그 탄광 노동자의 아들 빌리가 꿈을 위해 살아가는 하지만 암울한 배경이 가득한 `빌리 엘리어트`, 민영화로 들이닥친 험난한 현실을 맞은 실화가 바탕이 된 철도 건설노동자 이야기 `네비게이터`.. 그 외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와 애니메이션 `치킨 런` 등이 있다.

그리고, 몰랐는데 영화 `브래스트 오프`에서는 트럼본을 연주하는 탄광 노동자가 대처를 `마거릿 블러드(Blood) 대처`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 모양이다. 하지만 대체로 언론이나 또 누군가는(?) 이 할매와 그 업적(?)을 칭송하며 수사를 늘어놓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