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0. 24. 11:33

국내 반도체 4.0 시대

정부가 모바일 중앙처리장치(CPU)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등 10여년째 정체되어 있는 국내 반도체 산업을 다시 육성시키기 위해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경기 성남시 판교의 반도체산업협회 신사옥에서 열린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관 입주식’에서 ‘반도체 산업 재도약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주요 정책과제로는 올해만 3500억원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중앙처리장치의 해외 로열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산-학-연 공동으로 한국형 모바일 중앙처리장치 코어 개발에 착수한다. 올해부터 4년간 60억원을 투자해 ‘저전력 프로세서 설계 기술개발’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한 후 내년에 구체적인 로드맵을 도출한 후 관련 기술 개발과 상용화 연구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반도체를 만드는 토대가 되는 얇은 판인 ‘웨이퍼’ 개발도 국책과제로 이뤄진다. 현재 사용되는 300㎜ 웨이퍼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450㎜ 웨이퍼용 대구경 장비 개발 프로그램에 국내 장비업체를 참여시킨다는 전략이다. 또한 수입규모가 큰 시스템반도체의 국산화를 위해 내년에만 115억원을 투자해 관련 품목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이밖에 시장규모는 크지만 국산화율이 낮은 반도체 분야의 10대 핵심부품 개발에 향후 5년간 150억원을 투자하고 중국과 대만에 있는 코트라 해외무역관에 ‘반도체 전문 컨설턴트’를 배치해서 국내 기업의 중화권 진출을 돕는다.

국내 반도체 산업은 2000년대 이후 ‘성장정체의 덫’에 걸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내 수출 중 반도체 분야 비중은 2000년 15%에서 지난해 9%까지 감소했고, 국내총생산(GDP) 중 차지하는 비중도 2010년 6.5%에서 지난해 5.0%로 하락했다.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도 1990년대 이후 지난해까지 20%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을 통해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자리를 공고히 하는 한편 시스템반도체는 지난해 4위에서 2025년까지 2위로 끌어올리고 장비와 소재 분야의 세계 시장 점유율도 5.2%에서 20%까지 높이는 등 국내 반도체 산업이 세계시장을 선도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 유희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