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는 특성상 주로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부분을 다루게 됩니다. 자바 클라이언트와 달리 쓰레드와 핸들러까지 처리를 해 줍니다. res의 xml 파일에서 버튼과 텍스트 뷰만 올려놓고, 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합니다.
서버에 접속을 요청함과 동시에 쓰레드가 돌아가고, 연결 부분은 자바 클라이언트의 코드를 그대로 가져다 쓰면 되지만 여기서는 localhost라고 하면 안되고, PC의 IP 주소를 명시해주어야 됩니다. 그리고, 메시지 부분은 핸들러가 담당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메니페스트 파일에 다음과 같이 퍼미션 처리를 꼭 해야 됩니다.
실행을 하면 서버는 이전과 같이 클라이언트 접속을 기다리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메시지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클라이언트가 실행된 모습. 에뮬레이터에서 서버인 PC쪽으로 접속이 잘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똑같이 실행된 모습입니다.
'Java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에서 SurfaceView의 기본 형태 (0) | 2013.04.24 |
---|---|
안드로이드 앱 개발시 화면전환이 안되도록 처리하기 (0) | 2013.04.23 |
안드로이드 앱. `부산축제(Busan Festival)` (0) | 2013.04.18 |
20년 세월의 기술들이 이거 하나 속에 (0) | 2013.04.18 |
자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소켓으로 연결하기 (0) | 2013.04.17 |
안드로이드의 센서(Sensor) 종류 및 이벤트 처리와 진동 발생 (0) | 2013.04.16 |
안드로이드 루퍼(Looper)를 이용한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처리 (0) | 2013.04.15 |
안드로이드 핸들러(Handler)를 이용한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처리 (0) | 201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