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tinkercad 시뮬레이션으로 동작을 확인했던 그대로
실제 우노(Uno) 보드에 LED와 저항을 연결해 만들어봅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디지털 출력 번호는 13번, 음극은 GND로 접지합니다.
브레드 보드에 초록색 LED 전구를 꼽은 다음 저항과
점퍼선을 연결합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완성된 모습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이제 PC와 USB 케이블로 연결해 동작을 확인합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먼저 우노 보드에 전원이 들어오고 나서 잠시 후
LED 전구와 보드에 0.5초 간격으로 불빛이 점멸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ICT와 AI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 비네팅(Photoshop Vignetting) 효과 주기 (0) | 2020.10.19 |
---|---|
포토샵(Photoshop) 오브젝트 가장자리 맞춤 설정 (0) | 2020.10.19 |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 역사 속으로 (0) | 2020.10.19 |
포토샵 이미지 자르기(Crop) 방식 변경하기 (0) | 2020.10.18 |
tinkercad로 아두이노(Arduino) LED 전구 깜빡이는 예제 시뮬레이션 (0) | 2020.10.16 |
tinkercad와 fritzing의 차이점 비교 (0) | 2020.10.16 |
포토샵(Photoshop) CS6 작업 환경 인터페이스 화면 색상 바꾸기 (0) | 2020.10.16 |
눈에 띄는 포토샵(Photoshop) 책 2권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