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2. 1. 19:30

일본 청년들 `0엔 생활` 인기, 최대한 없이 산다.

풍요 반작용이거나 미래 불안 산물

30대 중반의 자유기고가 야요이(필명)는 일본 요코하마의 월세 5만 5,000엔(약 54만원)짜리 원룸에 산다. 11㎡ 크기의 방에는 TV, 냉장고, 세탁기 등 `필수` 가전제품이 없다. 컬러박스를 탁자 대용으로 사용한다. 의류는 20여벌.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다. 그는 “가능한 부분은 `0엔`으로 하고 싶다. 삭감할 수 있는 부분이 꽤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에 말했다.

야요이처럼 최소한의 필요품으로 생활하는 사람은 ‘미니멀 리스트’로 불린다. 일본에선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脫) 원전 의존`을 목표로 미니멀리스트가 된 이들이 늘었다. 2015년 `신조어 · 유행어 대상` 후보에 오를 정도였다. 이런 흐름은 필요 없는 물건을 없애고, 지출을 최대한 줄이는 ‘0엔 생활’의 추구로 이어졌다.

`극도의 절약` 지향은 통계 자료에서도 나타난다. 다이이치(第一)생명경제연구소가 지난해 전국 성인 1만 7,000명에게 한 설문조사에선 `최소한의 물건으로 깔끔하게 살고 싶다`는 응답이 75%였다. 미야키 유키코 수석연구원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어차피 필요 없어질 물건이라면 사지 않거나 빌리면 된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공유 서비스나 `셰어 하우스` 등 공유경제의 확산도 비슷한 흐름으로 분석된다.

`0엔 생활`이 풍요로운 삶에 대한 반작용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미즈노 가즈오(水野和夫) 호세이대 교수는 “경제 성장을 이룬 일본에선 가정에 필요한 물건은 다 갖추어져 있어 가전제품 등 내구소비재를 바꾸는 수요밖에 없게 됐다”면서 “물건이 넘쳐나 원하는 물건이 별로 없는 상황이 개운하게 살고 싶다는 사람들을 낳은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미니멀 리스트`로서의 생활을 강요당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미즈노 교수는 “기업은 사상 최고 이익을 내고 있어도 내부 유보금을 쌓고 있고, 임금으로 돌리지 않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절약 생활을 하는 사람이 있다”고 격차 문제를 지적했다. 실제 후생노동성이 종업원 5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평균 급여는 1997년 37만 1,670엔에서 2016년 31만 5,590엔으로 15% 줄었다.

현대 일본 사회의 폐색감(꽉 막혀 있는 느낌)을 배경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앞서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조사에선 `향후 지출을 늘리고 싶은 항목`(복수 응답)에 `저축 등 재산 만들기`가 40%로 가장 많았다. 미야키 수석연구원은 “모든 세대가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소비에 신중하다”고 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13121545006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