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8. 13:15

이런 기사가 나올 줄이야. . 그것도 연합뉴스가

반응형

북한 주요광산 남북 공동개발시 연간 9만명 일자리 창출가능

북한자원연구소 추산.. "남에서만 연간 1만 8천명 일자리"

남북 협력사업으로 북한의 주요 광산에 대해 현대화와 공동개발을 추진할 경우, 남·북한에서 연간 9만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민간 연구소의 분석이 나왔다. 연구소는 북한 지역의 700여 개 광산 가운데 현재 개발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주요 광산 74곳에 대해 남북 협력 현대화 · 공동개발 사업을 우선 추진하는 경우를 상정했다.

이 경우 남북한에서 연간 9만 1천 310명, 남한에서만 연간 1만 8천 550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연구소는 수입대체 효과가 있는 석탄·철광석·금 등 11개 광종에 대해 북한 광산의 현대화와 공동개발을 추진하면 현재 2.8%인 남한의 자급률이 사업 완료 후에는 남북한 통합 수요를 기준으로 40.3%까지 상승할 것으로도 예상했다.

특히 남한에서 현 자급률이 4.9%인 금의 경우에는 공동개발을 통해 남북한 통합 자급률이 100%를 달성할 수 있다고 연구소는 전망했다. 또, 현대화와 공동개발을 통해 북한의 주요 74개 광산에서 발생할 전체 매출액은 연간 106억 3천 400만 달러(11조원 이상)로 추정된다며 "연간 31억9천만 달러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소는 74개 광산의 현대화와 공동개발에 들 총투자비는 115억4천500만 달러로 추산했다. 다만, 이런 추정치는 북한의 광물 수출을 규제한 현재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가 해제될 때를 조건으로 한 것이다.

연구소는 또 "이런 추진 효과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광산 시설투자 이외에 북한 광산지역의 전력 등 노후화된 인프라 설비의 개보수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북한 광산은) 전력부족, 시설 노후화 및 내수시장의 한계 등으로 생산 가동률이 30% 수준에 머물고 있다"면서 "통일 이후를 대비한 중장기적 지하자원개발 대책 수립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http://v.media.daum.net/v/20180318100040194

북한의 보크싸이트 매장량은 상당하다고 하지요.

갈 길은 멀지만 이렇게라도 한 걸음씩.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