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DZ2 소행성, 주말에 지구근접 통과
직경 93m 초대형 소행성, 달보다 더 가깝게 지구 근접
‘2023 DZ2’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그리니치 표준시(GMT)기준으로 25일 19시 51분(한국 시간으로 26일 4시 51분), 지구에서 17만 3000㎞ 떨어진 우주 상공을 시속 2만 8044㎞의 속도로 지나갈 예정이다. ‘2023 DZ2’는 직경이 93m 가량으로, 영국 런던을 상징하는 빅벤 시계탑(96m)의 높이와 유사한 규모다. 또 2013년 러시아를 강타한 첼랴빈스크 소행성 크기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NASA는 “해당 소행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가 지구와 달 표면 거리(38만 4000㎞)의 절반에 불과하다”면서 “이 정도 크기의 ‘물체’가 지구에 근접해 지나가는 일은 10년에 한 번 정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소행성 2246개가 잠재적 위협 소행성으로 분류돼 있으며, 이중 크기가 1㎞ 이상인 것은 160개에 달한다.
소행성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반사하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소행성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빛을 다르게 반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일부 큰 규모의 소행성이 이미 지구에 근접한 후 또는 지구를 스쳐 지나간 후에야 발견하는 사례가 있다. 특히 2022 OE2와 같이 폭이 300m 이상인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1908년 시베리아 퉁그스카에 크기 60m 운석이 떨어져 서울시 면적 3배 숲이 사라졌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323601010
'Astronomy, 별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끝을 촬영하면 보이는 것! (0) | 2023.03.29 |
---|---|
양자역학의 확률과 파동함수 붕괴, 그리고 다중우주 (0) | 2023.03.27 |
이미 완결된 시간, 시공의 식빵. 운명론과 평행우주 (0) | 2023.03.26 |
보이저 1호가 최초로 보내온 태양계 밖 우주 공간의 소리.. 현재 위치와 상태 (0) | 2023.03.25 |
달에서 해왕성까지. . 태양계 천체들의 베스트 장면들 4K (0) | 2023.03.23 |
NASA 최초, 궤도에서 촬영한 초고해상도 화성표면 실제모습 4K (0) | 2023.03.22 |
허블 우주망원경이 찍은 메시에 M55 구상성단 (0) | 2023.03.20 |
초신성 폭발을 앞두고 있는 별 볼프-레이에 124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