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8. 17:41

무종교인 82% "종교, 사회에 도움 안 돼"

무종교 인구가 늘어나면서 비종교인들의 종교 호감도도 크게 줄었다. 비종교인 중 호감 가는 종교가 없다고 답한 사람은 61%로, 2004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호감가는 종교로는 불교가 20%, 가톨릭이 13%로 나타났고, 개신교는 6%에 그쳤다.

과거 종교를 믿은 적 있는 비종교인 비율은 1997년 4차 조사 50%에서 2021년 25%로 절반이 줄었다. 과거에 어느 종교를 믿었는지를 물은 결과, 개신교 52%, 불교 38%, 가톨릭 11%로 교회에 다녀 본 경험이 있는 무종교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종교 생활을 하지 않는 이유는 '관심이 없어서'(54%), '종교에 대한 불신과 실망'(19%), '정신·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7%)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응답은 1차(1984년), 2차(1989년) 조사 당시 각각 68%, 70%에 달했지만, 2014년 5차 조사에서는 47%에 그쳤고, 2021년에는 여기서 30% 더 떨어진 18%까지 내려앉았다.

반면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응답은 2004년 15%, 2014년 19%, 2021년 28%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무종교인 절대다수가 '종교는 사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인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개신교인 80%, 가톨릭 신자 65%, 불교 신자 59% 등 종교인 과반수가 '종교는 사회에 도움을 준다'고 응답한 반면, 무종교인은 82%가 '종교는 사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한국갤럽은 종교 인구가 감소하는 원인을 청년층에서 찾았다. 2004년 조사를 당시 20대 종교 인구는 45%였는데, 2014년에는 31%, 2021년에는 22%로 나타났다. 15년만에 절반이 줄어든 것이다. 30대 역시 2004년 49%, 2014년 38%, 2021년 30%로 꾸준히 감소했다.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0&fbclid=IwAR0HC7fJw-wFW7xlRmq_0bwHajkBHKXF42BOKJAahkRux8qmSvAXsijlMn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