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27. 16:18

식품첨가물, 알록달록한 합성 착향, 착색료

"보기 좋은 음식이 먹기에도 좋을까요?"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외관, 향미, 조직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품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비영양성 물질들입니다. 식품첨가물은 색깔이나 향기, 맛 또는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상품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화학물질입니다. 이중에서도 식품의 색을 낼때 사용하는 타르색소는 그 안전정에 대해서 아직도 논란이 많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예쁜 색을 내는 타르색소

타르색소는 석탄의 부산물인 석탄타르에 들어있는 강력한 발암물질인 벤젠이나 나프탈렌으로부터 합성한 것으로 주로 사탕, 음료수, 아이스크림, 껌, 과자 등의 가공식품에 사용됩니다. 식품 고유의 색을 유지함으로써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우리나라에는 타르계 8종, 타르색소의 알루미늄레이크 7종, 비 타르계 8종 해서 총 23개 품목이 사용 허가되어 있습니다.

식품의 맛을 내는 인공합성향료

가공식품은 제조과정에서 본래의 향기나 냄새가 거의 제거되므로 향을 따로 첨가하게 되는데 천연향료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주로 인공합성향료를 사용합니다. 합성착향료는 화학물질이며 향료 성분과 용제, 유화제 안정제, 부형제 등이 함께 사용되어 국가별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착향, 착색료'는 인체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지속적인 섭취 시 뇌 활동 또는 호르몬 활동을 교란시킬 수 있으며, 알레르기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요즘은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천연색소를 사용한 제품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것 또한 반드시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천연색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안전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제품 금지 첨가물

녹색 3호, 녹색 3호 알루미늄레이크, 적색 40호, 적색 40호 알루미늄레이크, 청색 2회, 청색 2호 알루미늄레이크, 황색 4호, 황색 4호 알루미늄레이크, 황색 5호, 황색 5호 알루미늄레이크, 적색 3호, 적색 102호

조리할 때 식품첨가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

1. 햄, 쏘세지 같은 육가공 식품들은 끓는 물에 한번 살짝 데쳐서 조리하거나 먹습니다. 어묵도 이렇게 하면 되지만 이건 방사능 땜시..

2. 통조림은 국물을 버리고 찬물에 헹궈 조리하거나 먹습니다. 참치통조림도 마찬가진데 이것 역시 방사능이...

여기서 광우병 위험도 그렇고 방사능 역시 근시안적인 사람들의 인식을 보면 괜찬다고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당장 문제가 안 생긴다고 하지만 젊어서 몸이 건강하다고 술, 담배를 많이 하면서 아무거나 먹은 사람들이 늙으면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이 어느 순간 찾아와 어깨를 두드리듯이 향후 10년 이 지난 이후 어느 순간 바로 헬게이트가 열리게 될지도 모릅니다.

광우병은 1년 내 100% 사망이라 죽을 수 있기라도 하고 그러면 끝이지만, 방사능은 앞으로도 수백년 간 대를 이어 영향을 미치니 인류는 뮤턴트라는 새로운 종족으로 바뀔지도 모름. 차라리 영화 엑스맨처럼 멋지게 변하기라도 하면 다행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뮤턴트는 그냥 기형아.. 오늘 보니 기형아 출산이 급증했다는 기사도 떴죠. 이건 일본 방사능 때문은 아니겠지만 지난 세월 산업화로 인해 꾸준히 축적된 부작용의 결과일 겁니다. 여기에 앞으로 방사능까지 가세한다면...

3. 빵도 팬이나 오븐에 살짝 구우면 보존료와 젖산칼륨의 남아있는 양이 70%까지 줄어든다고 합니다. 식빵도 생으로 먹는 것은 피하는게 좋다해 이거.

4. 컵라면은 물을 붓고 1분 정도 지난 후 물을 버리고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 스프를 넣거나 라면의 면도 한 번 끓인 후 재차 끓여서 먹는 게 좋은데 이러면 좀 싱겁기도 하고 괜찮기도 하고 그렇더군요. 아리까리.

TIP. 타르색소 섭취를 줄이는 법

- 합성 착향, 착색료 사용이 많은 식품(사탕, 빙과류, 탄산음료 등)의 선택을 가급적 줄입니다.

- 조리시 과일과 채소 등 천연색소를 최대한 활용합니다.

- 식품포장지의 '원재료명 및 함량' 포시 중 '착향료, 착색료' 사용여부를 자세히 살펴봅시다.

- 어린이 기호식품 인증제품에 금지색소가 표시되어 있다면 식품안전소비센터(전화 1399)에 신고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