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24. 13:47

소승과 대승 1

본 내용은 `도올 김용옥` 선생이 쓰신 `금강경 강해`의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적절한 부분 부분을 선택 기재한 것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소승 : 小乘  hinayana   - 작은 탈 것, 즉 작은 수레
대승 : 大乘  mahayana  - 큰 탈 것, 즉 큰 수레

소승이 좋은 것인가, 대승이 좋은 것인가

요즘 아파트도 모두 작은 평수보다 큰 평수 못 얻어서 난리인데, 아무렴 큰게 좋지 작은게 좋을까보냐? 큰 수레가 넉넉하고 좋을게 아닌가? 작은 길 가는데 작은 수레가 좋지, 뭔 거추장스런 큰 수레냐?

`hina ; 히나`라는 의미에는 단순히 싸이즈가 작다는 물리적 사실의 의미 외에 '용렬하고 옹졸하다'라는 가치판단의 의미가 들어 있다. 상대적으로 `maha ; 마하`에는 `크고 훌륭하며 장엄하다`는 의미가 들어가 있다. 그럼, 누가 `히나`로 불리기 좋아할 것인가?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상적인 불교이해(교과서적인)를 들여다보면, 남방불교는 `소승불교`이고, 북방불교는 `대승불교`다 라고 하는데 그러면, 버마, 타이 등지의 불교는 소승이고,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는 대승이란 말인가?

과연, 불교와 같이 추상적이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인간구원의 정신세계를 더듬는 종교적 세계에 소승과 대승이라는 확연한 구분의 기준이 가능할까? 누런 까사야를 걸친 미얀마의 스님들은 모두 소승불교인이고, 회색의 가사를 걸친 조선의 스님들은 모두 대승불교인인가? 

우리가 흔히 불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통시적으로나 공시적으로나 모두 소승이니 대승이니 하는 개념들을 무비판적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소승, 대승`이라는 개념이야말로 불교를 이해하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일대 편견이라 아니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에대한 우리들의 이해가 철저히 '실체화'되어 있는 오류에 빠지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敎相判釋`도 중국불교의 교리체계화에 기여한 바가 크지만, 그러한 아전인수격의 서열적 가치판단은 오히려 근원적으로 불교의 이해를 그르치게 만드는 도식성을 조장할 수도 있다. 우리는 그것을 경전 해석의 방편으로 삼을 수는 있으나, 불교의 근본교의를 이해하는 열쇠로 삼을 수는 없는 것이다.

'현자의 돌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승과 대승 5  (0) 2010.02.28
소승과 대승 4  (0) 2010.02.27
소승과 대승 3  (0) 2010.02.26
소승과 대승 2  (0) 2010.02.25
원불교 일원상 서원문  (0) 2010.02.20
아라한의 의미는?  (0) 2010.02.19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대한 고찰  (0) 2010.02.11
부귀가 머무는 곳  (0) 2009.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