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9. 11. 19:58

일리히 법칙

이반 일리히는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사회 사상가이자 가톨릭 성직자이다. 로마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찰스부르크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에 미국으로 건너가 가톨릭 사제로 활동했으며, 『학교 없는 사회』나 『창조적인 실업』과 같은 수많은 저작을 출간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 걸친 풍부한 교양을 바탕으로 현대 문명의 문제점들을 예리하게 비판했다. 1960년 일련의 교회 정책에 반대하며 가톨릭 사제직에서 물러난 뒤에 멕시코의 쿠에르나바카에 <국제 문화 자료 센터>를 설립하여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몰두했다.

그는 『공생을 위한 도구』라는 책에서 인간의 자율적인 행위가 서로 교환되는 사회를 주장했다. 인간이 공생적인 삶을 살 수 있으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저마다 최소한의 통제를 받는 도구를 사용하여 가장 자율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런데 그는 저작과 사회 활동뿐만 아니라 그의 이름을 딴 <일리히의 법칙>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수확 체감의 법칙이라는 고전 경제학의 법칙이 인간의 행위에도 적용된다는 사실에 주목한 학자였다. 일리히의 법칙은 이렇게 나타낼 수 있다. <인간의 활동은 어떤 한계를 넘어서면 효율이 감소하며 나아가서는 역효과를 낸다>

초기의 경제학자들이 말한 것처럼, 농업 노동의 양을 배로 늘린다고 해서 밀의 생산량이 배로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어느 정도까지는 노동의 양을 늘리는 만큼 생산량이 증가하지만, 어떤 한계를 넘어서면 노동의 양을 늘려도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법칙은 기업의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의 차원에도 적용된다. 1960년대까지 스타하노프 운동의 지지자들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노동자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압력을 많이 받으면 받을수록 노동의 효율이 높아지리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 압력은 어느 정도까지만 효과가 있다. 그 한계를 넘어서면 추가적인 스트레스는 역효과나 파괴적인 효과를 낸다.

에드몽 웰즈,『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상상력 사전 - 베르나르 베르베르

더 깊고 풍부해진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작가의 작품들을 쭉 읽었다면 책의 내용들이 익숙하게 다가옵니다.

dynamide.tistory.com